본문 바로가기

재테크/미국주식

“오라클(Oracle) 주가 전망” 클라우드·AI 전환의 핵심 플레이어, 기업가치 해부

“오라클(Oracle) 주가 전망” 클라우드·AI 전환의 핵심 플레이어, 기업가치 해부

기업 소개 및 비즈니스 구조

Oracle Corporation(티커: ORCL)은 1977년 설립된 미국의 대표적인 기업용 소프트웨어 및 클라우드 인프라 제공업체다. 본사는 캘리포니아주 레드우드쇼어에 두고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분야에서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였다. 이후 클라우드 전환을 핵심 축으로 삼아 SaaS, PaaS, IaaS 영역까지 사업을 확장해 왔다.

Oracle은 크게 세 축의 사업 구조를 지닌다:

  • 클라우드 + 라이선스 지원 사업: Oracle이 과거 판매한 온프레미스 라이선스의 유지보수 및 지원 수익
  •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IaaS + SaaS): Oracle Cloud Infrastructure(OCI), Fusion Cloud 애플리케이션, NetSuite ERP 등이 포함
  • 하드웨어 / 기타 소프트웨어 사업: 엑사데이터(Exadata) 하드웨어, 미들웨어, 기타 관련 소프트웨어

Oracle은 최근 AI 역량을 DBMS와 클라우드 인프라에 통합하는 전략을 강화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기반 수익 비중을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중이다.

 

1. 재무 데이터 분석

다음 표는 Oracle의 최근 실적 지표 요약이다. (단위: 백만 달러 또는 표기된 단위 기준)

구분 항목 수치 (최근 기준) 전년 대비 증감률 / 참고사항
매출 FY2025 연간 매출 약 57,400 백만 달러 전년 대비 약 +9% 증가 (11 /Q4 기준 매출 15,900 백만달러, 전년 대비 +11%)
클라우드 매출 FY2025 Q1 기준 클라우드 매출 $7,200 백만 (IaaS + SaaS) 전년 대비 +28% 증가 (IaaS는 +55%)
잔여 계약 수익 (RPO) FY2026 Q1 $455,000 백만 달러 전년 대비 +359% 증가
영업이익 FY2025 Q1 (비 GAAP) 약 $6,200 백만 전년 대비 약 +9% 증가
순이익 FY2026 Q1 (비 GAAP) 약 $4,300 백만 전년 대비 약 +8% 증가
주당순이익 (EPS) 비 GAAP 기준 $1.47 전년 대비 +6% 증가
클라우드 인프라 사업 성장률 예상치 FY25 → FY26 인프라 부문 +50% → +70% 이상 성장 Oracle 경영진 전망치 기반

 

이 표가 의미하는 바

  • Oracle은 전통적인 라이선스 기반 사업에서 점차 클라우드 사업 쪽으로 수익 구조를 이동하는 과도기를 겪고 있다.
  • 특히 잔여 계약 수익(RPO)의 급격한 증가가 눈에 띈다. 이는 아직 인식되지 않은 장기 계약 기반의 수익이 미래에 실현될 여지가 크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 클라우드 인프라 부문의 고성장성이 향후 수익 구조 변화의 중심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다만, GAAP 기준 수익성과 현금 흐름 변동성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2. 산업 트렌드, 경쟁사 비교 및 시장 성장성

산업 트렌드 요약

  • 클라우드 지배력 강화: 전 세계 클라우드 인프라 시장은 대형 기업(AWS, Azure, GCP 등)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으며, 2025년 현재 AWS가 약 29%, Azure 약 22%, Google Cloud 약 12%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 AI 통합 DB 및 자동화 기능: 데이터베이스 업계는 AI 기반 쿼리 최적화, 자동 인덱싱, 자율 운영(autonomous DB) 등이 주요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으며, Oracle 역시 AI 기반 기능을 DB 엔진에 내장하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 
  • 멀티클라우드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기업들은 단일 클라우드 벤더에 종속되지 않고 멀티 벤더 전략을 채택하는 추세이며, Oracle은 자사 DB를 Azure, AWS 등 타 클라우드 위에서도 운영 가능한 Database@Azure, Database@AWS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 오픈소스 DB의 침투 확대: PostgreSQL, MySQL 등 오픈소스 DB에 대한 신뢰가 높아지며, 라이선스 중심 DB 모델에 대한 경쟁 압박이 커지고 있다.

경쟁사 대비 위치 및 시장 점유율

Oracle이 속한 소프트웨어·클라우드 업계 내 주요 경쟁사는 Microsoft, Amazon (AWS), Google, Salesforce 등이다.

  • CSIMarket 기준 Q3 2025 기준 소프트웨어·프로그램 부문 시장 점유율에서 Oracle은 약 **18.43%**로 Microsoft(약 52%)보다 낮은 편이다.
  • 클라우드 인프라 시장에서는 Oracle은 글로벌 기준 약 3% 내외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시장 성장 전망 및 Oracle의 점유율 기대

  • 클라우드 인프라 및 AI 서비스 시장은 연평균 성장률(CAGR)이 두 자릿수대(예: 15~25%)로 예상되며, AI 트래픽, 데이터 증가가 수요를 견인할 전망
  • Oracle은 클라우드 사업 비중을 확대하고, 고부가가치 사업으로의 전환을 통해 시장 내 점유율을 점진적으로 끌어올릴 여지가 있다
  • 다만 AWS, Azure 등 이미 커다란 생태계 우위를 가진 업체들을 넘어서기에는 구조적 제약이 존재하며, niche 영역(데이터베이스 + AI 통합 서비스 등)에서 경쟁력이 발휘될 가능성이 높다

 

3. 기업가치 평가 관점 및 리스크 요소 분석

다음은 Oracle의 기업가치를 평가하거나 투자 관점에서 유념할 요인들이다.

거시경제 요인 (환율 · 금리 · 정부정책)

  • 환율 영향: Oracle은 글로벌 매출 구조를 지니므로 달러 강세 시 외화환산익이 긍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금리 상승 리스크: 기술기업은 자본 비용 증가에 민감하므로 금리 상승은 할인율을 높이고 밸류에이션을 낮추는 요인이 될 수 있다.
  • 정부 정책 / 규제: 미국 및 각국의 데이터 법규, 클라우드 규제, 반독점 규제 강화 등이 클라우드 사업 확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경영진 / 조직 문화

  • Oracle의 최고경영진은 지속적으로 클라우드·AI 전환을 강조해 왔고, CEO Safra Catz, CTO Larry Ellison 등 기술 중심 리더십이 강한 구조다.
  • 다만 대기업 특성상 조직 관성이나 사업 구조 조정의 속도 제한 가능성이 있다.

기술 혁신

  • Oracle은 AI 기능을 DB 엔진 내부에 통합한 전략을 전개하고 있고, 자율 운영 DB, 자동 튜닝, AI 기반 쿼리 최적화 등의 혁신을 강조한다. 
  • 또한 OpenAI와의 인프라 협업, 자사 데이터센터 확장 등이 기술 인프라 경쟁력을 강화할 가능성이 있다. 

브랜드 가치

  • Oracle은 오랜 기간 DB/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신뢰를 쌓아 왔고, 특히 대기업 중심 고객 기반이 두껍다.
  • 하지만 클라우드 시대에 AWS, Azure 등과 브랜드 경쟁에서 상대적으로 뒤처진 이미지를 극복해야 한다.

ESG 및 규제 리스크

  • 클라우드 인프라 확장에는 대규모 전력/탄소 배출 가능성이 수반되며, 환경 규제가 강화된다면 인프라 운영 비용 상승 리스크가 있다.
  • 보안/프라이버시 리스크: 최근 Oracle의 E-Business Suite(EBS)에 대한 해킹 공격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이는 보안 신뢰성에 직접적인 리스크 요인이 된다.
  • 반독점 규제 압력: 클라우드 빅테크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지며 규제 당국의 감시 강화 가능성이 있다.

투자자 심리

  • 시장은 AI 기대감 중심으로 기술주에 과도한 프리미엄을 부여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기대치가 실적과 괴리 날 경우 조정 가능성 있다.
  • 반면 Oracle이 잔여 계약 수익(RPO) 증가나 대형 AI 인프라 계약을 지속 발표하면 투자자 심리 반등 요인이 될 수 있다.

종합 평가 및 투자 관점 정리

Oracle은 전통적 DB 강자에서 클라우드 + AI 전환을 중심 전략으로 삼으며 성장 궤도에 진입해 있다. 특히 잔여 계약 수익(RPO)의 급격한 증가, 클라우드 인프라 사업의 고성장, AI 기능 통합 전략 등이 긍정적 요인이다.

그러나 과제도 분명하다. GAAP 기준 수익성의 변동성, 자본 지출 부담, 보안 리스크, 경쟁사의 우위 구조 등은 주의해야 할 요소다.

투자자에게 권고하자면, Oracle을 중장기 관점에서 클라우드·AI 사업 성장 가정이 실현 가능하다고 판단할 경우 수익 구조 전환 과정에서 수반되는 리스크를 감안하면서 분할 진입 전략을 고려할 만하다.